대학생 월세 지원 정보 - 2025년 시행 한국장학재단 청년 주거안정장학금 분석 - 신청 자격, 신청 방법 등
안녕하세요!
저는본가와 다른 지역의 대학을 다녔던 탓에 대학 시절 내내 하숙과 월세집을 얻어 생활을 했습니다.
월세를 낼때마다 부모님의 한숨이 느껴져 미안함을 느꼈습니다. 교통비, 식비에 월세까지 포함해 한달 동안 들어가는 생활비 부담은 학생과 학부모님 모두에게 큰 부담이 됩니다.
요즘은 월세도 많이 올라서 부담이 더욱 커졌을텐데요, 다행스럽게도 정부나 지자체, 장학 재단 등에서 다양한 지원책이 있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한국장학재단에는 2025년부터 새롭게 '청년 주거안정장학금' 제도를 시행합니다.
오늘은 '청년 주거 안정장학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지원 자격, 지원 금액, 신청 방법 등 꼼꼼히 살펴보시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청년 주거안정장학금이란?
본가에서 떨어진 대학으로 진학한 대학생은 월세 등 주거에 많은 비용을 지출해야 합니다. 한국장학재단은 주가 비용 부담이 큰 저소득 대학생들을 위해 이번에 '청년 주거안정장학금'을 신설했습니다.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주거비 부담을 덜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핵심 내용 정리
1. 지원 자격
소득 조건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해야 합니다.
거리 조건
대학 소재지와 부모님 주소지가 다른 교통권에 해당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대학은 서울에 있고 부모님은 부산에 있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기타 조건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만 39세 이하의 미혼 대학생이어야 합니다. (안타깝지만 대학원생은 지원 대상 제외)
2. 지원 금액
지원 금액은 월세와 주거 관련 비용 포함해 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 금액은 실제 주거 비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월세가 30만 원인 경우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으며, 월세가 15만 원인 경우에는 월세 15만원과 주거 관련 비용(상하수도, 전기, 가스, 석유 및 주택관리비 등)까지 포함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3. 신청 일정
2025년 2월 4일부터 3월 18일까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기간 전에 미리 필요 서류를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4. 필요 서류
- 소득 증빙 서류 (수급자 증명서 등)
- 가족관계 증명서
- 주거 관련 서류 (임대차 계약서, 기숙사비 납부 확인서 등)
- 기타 필요 서류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참고)
5. 선발 기준
- 소득 수준 및 주거 환경
- 학업 성적 (일부 경우)
- 기타 재단에서 정한 기준
6. 문의처
- 한국장학재단 고객센터: 1599-2000(유료)
- 홈페이지: https://www.kosaf.go.kr/ko/scholar.do?pg=scholarship05_12_18